백범김구자료

우리 김구재단은 선생님의 교육관을 본받아 바른철학을 가진 우수 인재를 양성하는데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제목 [17부 기획] 2-1. 일본경찰로 잠입 감행... 독립지사 돕기도
작성자 admin 작성일 2012-06-26
파일/사진받기 다운로드

 

 

일본경찰로 잠입 감행... 독립지사 돕기도 

 


 
기사입력 : 2009-11-26 10:07     [ 상하이=맹창호 기자 ] 

지면 게재일자 : 2009-03-13     면번호 : 13면  

 

1919년 4월 11일. 민족을 대표하고 독립운동을 이끌어 갈 최고기관인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됐지만 본국과 상하이는 현실적으로 너무 멀었다. 임시정부는 국민들에게 존재를 알리고 희망을 주는 유기적 연락관계가 필요했다. 

 



 
▲ 대한민국임시정부 공무원 기념사진(1919년 10월). 앞줄 좌로부터 신익희, 안창호, 현순. 뒷줄 좌로부터 김철, 윤현진, 최창식, 이춘숙. 

 


 
이때(1919년 7월 10일) 국무원령 제1호가 공포된다. 교통국과 연통제를 만든 것. 교통국은 통신업무를 연통제는 행정구역에 따라 광범위한 국내조직을 담당한다. 당시 내무총장인 도산 안창호는 서울에 임시총판부를, 도에는 독판, 부에는 부장, 군에는 군감, 면에는 면감을 두고 조선총독부와 맞서는‘지방정부’를 만들려 했다. 이는 서북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다 1921년 이후 일제에 발각돼 조직 상당수가 붕괴되는 아픔을 겪는다. 

 



이와함께 임정과 국민, 본국과 상하이를 연결하는‘특파원’이 운영된다. 특파원은 국내 잡입, 요인탈출, 독립자금모금 등을 주임무로 조직됐다. 이들은 첫 사업부터 대단한 성과를 거두는데 국내 비밀결사조직인 대동단 총재 김가진을 상해로 망명시킨다. 

 



김가진은 공조판서와 농상공부대신, 중추원의장, 충청도관찰사 등 한말 고위직을 역임하고 일제에‘남작’작위를 받았던‘거물’이었다. 그는 아들과 1919년 10월 상하이 임시정부에 찾았고, 그의 망명사실은 가족들조차“신문기사를 보고 알았을 정도(정정화의 장강일기 中)”로 비밀리에 추진됐다. 

 



김가진의 망명은 일제와 친일파에 엄청난 충격이었다. 그러나 임시정부는 대내외에 큰 주목을 받게 된 쾌거였다. 일본 총독부는 김가진 며느리의 먼 친척을 동원해 귀국을 종용하는 역공작을 벌이지만 그는 임시정부에 체포돼 처형된다(장강일기 中). 

 

 



 
▲ 상하이 임시정부가 특파원들에게 사용토록한 암호전보문. 한글을 기본으로 자음은 1~15까지. 모음은 16??25까지 숫자로 표기한다. 

 


 
김가진에 이어 의친왕 이강의 탈출이 추진된다. 의친왕은 일본과 유럽에서 특파대사를 역임하고 5년간 미국 유학으로 국제정세에 밝았다. 그는 고종에게 받은 채권증서와 비밀문서를 가지고 1919년 11월 안동(현재의 단동)행 기차에 올라 무사히 국경을 넘는다. 하지만, 개찰구를 빠져나가지 못하고 일본경찰에 잡히고 만다. 

 



임정 특파원 가운데는 아예 신분을 위장해 일본경찰에도 잡입하는데 대표적 케이스가 우강 최석순이다. 그는 안동에서 일본 경찰로 독립지사의 국내잠입과 국내에서의 탈출을 도왔다. 신분이 들통난 그는 가족과 상하이로 피신했는데 한때 위장신분인 일본경찰의 이력 때문에 밀정으로 몰려 곤혹을 치룬다. 그의 딸은 김원봉의 아내이다. 

 



이들 특파원에게는 비밀통신망을 운영하기 위해 특별한 연락방법이 필요했다. 이때 개발된 것이 백반(白礬)편지. 한지에다 백반을 물에 개어 사용한 일종의 암호편지다. 무심결에 쳐다보면 아무 것도 보이지 않지만 불에 쪼이면 글씨가 뚜렷하게 살아나 쉽게 읽을 수 있다. 백반편지는 일본경찰에 발각되기가지 유용한 비밀통신 수단이었다. 

 



이어 개발된 암호문은 끈 편지다. 한지를 길쭉하게 잘라 내용을 암호문으로 적고 그 종이를 노끈 꼬듯이 꼬아 각종 물건을 묶어 문서와 지령을 국내로 반입시켰다. 현대적 암호문 보다도 사용이 쉽고 들킬 위험이 적어 활용도가 높았다

 

상하이=맹창호 기자